Windows의 서비스와 네트워크 서비스
윈도우의 서비스
는 윈도우가 실행되고 있는 동안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구동되는 실행 파일로, 사용자의 관리를 요구하지 않는다.
(1) 윈도우 스냅인
윈도우 스냅인 관리 도구 중 services.msc
를 실행하여 로컬 시스템에 구동될 수 있는 서비스 목록을 조회할 수 있다. 이 곳에서는 각 서비스에 대한 설명과 함께 서비스 시작/중지/일시정지/계속을 지정할 수 있다.
![](C:%5CUsers%5Clsware%5CAppData%5CRoaming%5CTypora%5Ctypora-user-images%5Cimage-20210323171234006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vukGY/btq03vytjHg/BG8BghqGkS1ZeygN1qzWc0/img.png)
작업 관리자를 통해서도 '서비스' 관리도구로 넘어올 수 있고 작업 관리자의 '서비스' 탭에서도 목록 조회가 가능하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pwbht/btq038bJK1W/8kwFEkhzaQzxuFIK8ppgZk/img.png)
또 다른 스냅인으로 msconfig
를 통해서도 서비스 목록을 조회할 수 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eF0q/btq038v2ymW/IofYkQ8k3nveog3xEfyLc0/img.png)
이 중 아래와 같은 서비스들이 네트워크 서비스에 해당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tGU4H/btq0383SfAb/xOkdzxAjrlbyAbmRxgLdF0/img.png)
(2) 명령어 - sc.exe, net start/stop
cmd 창에서는 sc.exe
를 통하여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OL5Re/btq0XoOsJMs/ZKkSnmfzKEqjsOBDqdQvtK/img.png)
sc query
를 입력하면 로컬 시스템에서 구동될 수 있는 서비스 목록을 출력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6fVCM/btq039hpCKI/ygZaj9K3LjgRfkrRRfwSeK/img.png)
이 sc
명령어를 통한 서비스 관리는 DB 및 레지스트리 하위 키
에 영향을 미친다. regedit
을 실행하여 다음 경로에 가보면, sc
에서 관리하는 서비스들의 하위 키를 볼 수 있다: \HKEY_LOCAL_MACHINE\SYSTEM\CurrentControlSet\Services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USMTq/btq0VpNy9co/sXA5fSGZ7iTRfDoDZT2xxK/img.png)
간단하게 net start/stop 명령어를 통해서도 서비스를 실행, 중지할 수 있다. 하지만 레지스트리에 영향을 미치진 않는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8BP4W/btq0XpftHja/Sd0DdFEccCV7PB9hPCW970/img.png)
(3) PowerShell의 CMDlet
파워쉘에서도 CMDlet 명령어를 통해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.
- Get-Service
- New-Service
- Restart-Service
- Resume-Service
- Set-Service
- Start-Service
- Stop-Service
- Suspend-Service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z2GgG/btq03vkVZ0q/sm9ZVaEAkpZPdslqL0mrpK/img.png)
sc.exe
와 같이 레지스트리에 직접적으로 접근하여 관리한다.
(4) services 파일
다음 경로에는 well-known 포트로 정의된 프로토콜 서비스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 'services'라는 파일이 존재한다: C:\Windows\System32\drivers\etc\services. 서비스를 직접적으로 관리할 순 없지만 서비스에 사용할 포트와 대응된 서비스 명을 조회할 수 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ncj8A/btq03GNh1cV/W5kD5ttXBGIHxfVWG5SZd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nYL5G/btq0VoOFZHg/NJz0SSdP2OhImHyVjWiLK0/img.png)
'SYSTEM > Windows Server 보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미완] [WinServer2016] 공유 폴더를 통한 ACL 설정 (4) | 2021.03.22 |
---|---|
Active Directory (5) 공유 폴더 설정 (+ AD 멤버 배경화면 변경) (2) | 2021.03.18 |
Active Directory (4) GPO 설정 (0) | 2021.03.18 |
Active Directory (3) Domain 구성하기 (1) | 2021.03.18 |
Active Directory (2) Domain Server (AD DS) 구성하기 (1) | 2021.03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