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argame 182

[ctf-d DISK] X 회사의 재정 정보를 훔치기…

문제의 키워드는 '재정 정보', '컴퓨터를 끄지 않는', 'EXCEL 파일', '14:00시' 정도로 추릴 수 있을 것 같다. 몇 번의 삽질이 있었지만, 먼저 아래 경로에서 최근에 실행한 Office 어플들의 목록을 볼 수 있다. C:\Users\user\Desktop\Users\proneer\AppData\Roaming\Microsoft\Office\Recent 이 곳에서 '[Top-Secret]_2011_Financial_deals'라는 수상한 엑셀 파일을 발견했다. 이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 UFTLnkParser를 사용해 해당 경로의 lnk 파일 정보를 출력했다. 그 곳에서 전체 경로와 파일 사이즈를 찾았다. full_path = C:\INSIGHT\Accounting\Confidenti..

Wargame/ctf-d.com 2021.02.28

[ctf-d Network] DefCon #21 #1

Conversation 탭에서 172.29.1.50 46.165.193.136 간 대화를 보면 "Hi Greg :)", "Hi Betty"를 통해 문제에 언급된 Betty를 발견할 수 있다. 그리고 Jensen의 풀네임이 Greg Jensen이 아닐까.. 하는 의심! 거기서 Greg이 "what day do you want to meet up?"이라고 회의의 '날짜'를 묻는 것이 보인다. #s3cr3tsp0t라는 키워드가 보이며 URL 인코딩된 값도 보인다. 디코딩해보면 How does Wednesday sound? -> How does Wednesday sound? Great :) what time? -> Great :) what time? ah 2pm -> ah 2pm Ok, I can't ..

Wargame/ctf-d.com 2021.02.28

hackerschool FTZ level6

다른 레벨과 다르게 로그인 하자마자 힌트가 보인다. 일단 인포샵도.. bbs도.. 뭔지 모르기 때문에 검색해보자. 인포샵은 정보 공유 커뮤니티인 것 같고.. BBS는 전자 게시판을 뜻하는 것 같다. 인포샵에 대한 첫 검색 결과가 2013년인 걸 보니 내가 모를 만 하다. 어쨌든 인포샵의 bbs는 커뮤니티 게시판을 뜻하는 듯 하다. 이 '인포샵 bbs'의 텔넷 접속 메뉴에서 많이 사용되든 해킹 기법이 뭘까.. hint에서 엔터(또는 아무거나)를 누르면 아래처럼 텔넷 접속 서비스가 뜬다. 그리고 보이는 조상님들.. 1, 2, 3 모두 눌러보았는데 'Trying~'만 나타날 뿐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. 여기서 더 기다려봤는데 자동으로 putty가 종료됐다. 문제는 putty에 다시 접속해서, 힌트가 나오는..

Wargame/FTZ 2021.02.04

hackerschool FTZ level5

hint 내용을 보자. 문제에 언급된 \usr\bin으로 이동해 level5 프로그램을 살펴보자. 이 곳에서 ls -al 명령어를 통해 본 결과, level5라는 프로그램은 level6의 권한으로 SetUID가 걸려있었다. 또한 실행해도 아무 일이 일어나지 않았다. hint 파일에서 /tmp 디렉터리에 level5.tmp 라는 임시 파일을 생성한다고 했으니 /tmp 디렉터리로 이동해본다. 하지만 /tmp 디렉터리에도 level5.tmp 파일은 보이지 않는다. 따라서 내가 보기 전, 혹은 생성되자마자 삭제된 것으로 보인다.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아래 개념이 필요하다. Symbolic Link: 특정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대해 참조하는 파일. 윈도우의 '바로가기'와 비슷한 기능으로, 심볼릭링크로 지정된 파..

Wargame/FTZ 2021.02.04

hackerschool FTZ level4

FTZ level4 입니다. cat hint: /etc/xinetd.d/에 백도어가 있다고 합니다. xinetd는 리눅스의 수퍼 데몬으로, 메모리에 상주하여 데몬 프로그램을 돌리는 standalone 방식보다 속도는 조금 느려도 자원 관리 면에서 더 효율적인 방식입니다. [리눅스] 슈퍼데몬 xinetd 정리 데몬에는 2가지 종류가 있다. 슈퍼데몬 방식(xinetd 방식), standalone 방식이 있다. standalone방식은 말 그대로 단독으로 메모리에 상주하고 있는 방식이다. 자주 사용되는 데몬이라면 문제가 없지만 �� raisonde.tistory.com cd /etc: 우선 /etc 디렉터리에 이동했습니다. cd xinetd.d ls: backdoor 파일이 보입니다. cat backdoor:..

Wargame/FTZ 2021.01.28

hackerschool FTZ level3

FTZ level3입니다. 먼저 ls를 통해 hint를 발견했어요. 내용을 봅시다. autodig의 소스를 안내해주고 있네요. 코드를 간단히 살펴봅시다. int main(int argc, char **argv){} main 함수에서는 인자 2개를 받습니다. 아래 모두 main 함수에 포함되는 것들입니다. char cmd[100]; cmd 라는 이름의 배열을 선언하고 if(argc!=2){ printf("Auto Digger Version 0.9\n"); printf("Usage : %s host\n", argv[0]); exit(0); } 만약 인자 값이 2개가 아니면, Auto Digger Version 0.9 Usage : [첫번째 인자, 'autodig'가 될 것] host 를 출력합니다. strc..

Wargame/FTZ 2021.01.26

hackerschool FTZ level2

바로 level2입니다. 역시 ls -al을 실행해 파일 목록을 확인합니다. cat hint로 문제를 봅시다. '텍스트 파일 편집 중'이라고 하는 것을 보니 vi가 쓰일 것 같습니다. 우선 level3라는 user을 가진 파일이 있는지 찾아보도록 합시다. /usr/bin/editor 가 검색되네요. find / -user level3 2> /dev/null /usr/bin 디렉터리에서 ls를 실행하면 빨간색의 editor 파일이 보입니다. editor를 실행해봅시다. 그러면 아래와 같은 편집기가 실행돼요. 그리고 vi 명령 모드에서, 쉘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다고 합니다. :sh - 쉘로 잠시 나가기 ![command] - 쉘 명령을 한줄만 하는경우 r![command] - 쉘 명령 결과를 편집내용에 추..

Wargame/FTZ 2021.01.21